삼성 SDI는 1970년 1월 20일 삼성-NEC 주식회사로 설립되었고, 1979년 1월 29일 기업공개를 실시하여 1979년 2월 27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또한 1999년 11월 29일 디지털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상호를 삼성SDI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중형전지, 대형전지, 소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 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 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삼성 SDI 배경과 목표
삼성 SDI 는 친환경 에너지와 첨단 소재를 양대 축으로 전기자동차, ESS(Energy Storage System), Power Tool, IT용 배터리 사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용 전자재료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초격차 기술경쟁력, 최고의 품질,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을 통해 2030년 글로벌 Top Tier 회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 SDI는 친환경경영뿐 아니라 안전 환경, 상생 협력, 사회 공헌 등 ESG경영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삼성 SDI 사업분야
에너지솔루션 부문
리튬이온 2차전지 산업은 재료, 설계, 조립 등의 기술이 복합적으로 집약된 산업으로 제품의 안전성과 고객이 요구하는 에너지 밀도, 출력, 충전속도, 수명 등의 향상을 위해 꾸준히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2000년 리튬이온 2차전지 사업을 시작한 이래 지속적으로 에너지 밀도 등 기술 우위의 제품과, 품질 개선,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해 노력해 온 결과 현재까지 업계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2차전지 사업은 수년간 쌓아 온 주요 고객과 신뢰를 바탕으로 신규 고객 및 신규 시장 탐색과 함께 새로운 제품의 선행 개발도 병행하고 있으며,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활동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차별화된 기술을 확보해 성장하는 리튬이온 2차전지 시장을 선도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ESS (Energy Storage System)
전기를 저장하고 가장 필요한 시기에 공급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삼성SDI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과 연계한 전력/상업용 ESS, 데이터 센터 등 주요 시설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대비하는 UPS(무정전 전원공급장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ESS에 필요한 배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UPS
삼성SDI의 UPS 배터리 솔루션은 뛰어난 성능, 효율 및 안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데이터 센터, 통신, 학교, 의료 시설 등 중요 시스템의 대규모 UPS 시스템에 적용되어 정전 발생 시에도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고 시스템 중단 없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합니다.
ESS
가정용 ESS는 가정용 태양광 시스템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저장하여 소비자의 에너지 자가 소비율 향상, 전력요금 절감을 가능하게 하며, 정전 대비, 전기자동차 충전, VPP(Virtual Power Plant) 사업 참여 등 사용 용도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다양한 배터리 용량과 전압대 구성, 원통형 장수명 셀을 적용하여 높은 안전성과 콤팩트한 디자인을 갖춘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Micro Mobility
자동차나 대중교통에서 내려 최종 목적지까지 활용하는 라스트 마일용 소형/경량의 이동 수단으로 형태에 따라 전동 킥보드, e-Bike, e-Scooter가 있습니다.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에서의 생활, 개인 차량 소유에 따른 유지비용 상승, 사용 용이성, 친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Micro Mobility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우수한 소재 및 부품 기술을 활용한 최고의 배터리로 Micro Mobility가 갖춰야 하는 Slim&Light 디자인, 사용 편의성, 친환경을 달성할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e-Bike
자전거에 모터와 배터리를 장착해 탑승자가 적은 힘으로 보다 먼 거리를 달릴 수 있게 합니다. 고에너지 배터리 적용을 통해 운행 거리를 늘리면서도 무게가 가벼운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삼성SDI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이 강화된 소형 배터리로 e-Bike를 보다 더 슬림하고 가볍게 만들고 있습니다.
e-Scooter/e-Motorcycle
e-Scooter는 내연기관을 대체한 친환경 모빌리티로 단거리 운전에 최적화되어 설계되었으며, 배터리 팩이 내장되어 있는 일체형과 분리할 수 있는 교체형으로 구분되어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e-Scooter에 적합한 고용량 소재, 독특한 기구 디자인과 균일한 품질의 원형 배터리로 고성능, 장수명과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Power Device
모터와 배터리를 사용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는 전동 장비입니다. Power Tool은 휴대에 편리한 사이즈와 가벼운 무게에도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Device입니다. 건설현장의 작업부터 취미 생활의 DIY 프로젝트, 정원/조경 등에 활용되는 Outdoor Power Equipment로도 그 범위는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집안의 무선 Cleaner도 흡입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이 모든 Device 속에서 삼성SDI의 고용량 초고출력 배터리는 장시간 지속적으로 높은 출력을 구현합니다.
Power Tool
소형화된 배터리 팩을 장착하여 가벼우면서도 콘크리트벽을 뚫을 정도의 힘과 충전이 어려운 지역에 오랜 시간 머물러 작업을 할 수 있는 작동 시간이 중요합니다. 삼성SDI의 Power Tool 배터리는 최고 용량, 최고 출력의 셀 성능 이외에도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설계부터 생산까지 철저하게 검증된 배터리 팩 기술로 업계의 스탠다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전자재료부문
SOD (Spin On Dielectrics)
SOD는 반도체 회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액상 코팅 재료로, 미세 패턴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포(Void) 불량을 개선한 低반응성이 특징입니다.
SOD는 기존 CVD 공정을 Spin Coating 방식으로 단순화하여 공정 간소화,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등 반도체 공정기술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CMP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CMP Slurry는 반도체 공정 중 형성되는 단차 등 울퉁불퉁한 Wafer 표면을 화학/기계적으로 평탄화하는 연마제로, 입자와 첨가제의 상호 최적화를 통해 평탄화율 개선, Low Defect 구현이 특징입니다. Oxide, Metal (W, Cu), Ceria Slurry를 제품군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EUV 소재 (Extreme Ultra Violet)
EUV 소재는 반도체의 13.5nm 초미세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차세대 재료로, 독자 특허 및 공동 평가를 통해 Photo Resist, Under Layer, Thinner 등을 개발 및 양산하고 있습니다.
CIS-CR (CMOS Image Sensor Color Resist)
CIS-CR 소재는 CMOS Image Sensor의 Pixel 색상을 구현하는 Photo Resist로 가시광선을 R, G, B 中 특정 색상의 빛으로 선택적 추출/변환하는 소재입니다. CIS-CR 소재는 고해상도 구현을 위한 미세패터닝이 가능하고 고색재현을 구현하는 동시에 Pixel간 빛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EMC (Epoxy Molding Compound)
EMC는 수분/충격 등 외부 환경으로부터 반도체 칩을 보호하고 칩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해주는 열경화성 소재입니다. EMC는 반도체 패키지 구조의 복잡화/경박화에 따라, DRAM/NAND/Foundry向 맞춤 소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ID (Photo Imageable Dielectric)
PID는 차세대 대면적 패키지 구조 중 금속 배선층 사이의 절연막을 구성하는 감광성 패터닝 절연재로, 높은 해상도, 내열성, 내화학성이 특징입니다. PID는 고객의 다양한 패키지 구조에 맞춘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편광필름 (Polarizer Film)
편광필름은 TV, 모니터 등 가장 앞쪽에서 화면 전체를 덮고 있는 검은색 필름으로 LCD 및 OLED 디스플레이의 빛의 투과도, 반사율을 조절하는 핵심 소재 입니다. 편광필름은 우수한 특성으로 삼성전자의 프리미엄 TV에 적용 중입니다.
FOCA (Foldable Optical Clear Adhesive)
FOCA는 폴더블폰이 접히거나 펼쳤을 때 문제 없도록 만드는 점착제 필름으로 ’19년 세계 최초로 Galaxy Z Fold 및 Z Flip에 적용하여 지금까지 양산 중입니다.
FOCA는 독특한 Core 기술을 가지고 있어 국내외 특허 출원하였고 고객의 다양한 패널 구조에 따라 맞춤형 소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OLED용 공정 보호필름
OLED용 공정 보호필름은 Flexible OLED 패널 생산에 적용되는 보호필름으로 공정 중 패널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低점착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수한 신뢰성과 밀착성으로 보호필름 제거 시 패널 오염 최소화가 가능합니다.
OLED 소재
OLED 소재는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에서 생성된 전자와 정공이 발광층에서 만나 빛을 방출할 때 사용되는 소재입니다. Green-Host, p-dopant, ETL 소재는 우수한 특성과 품질을 기반으로 국내외 OLED 모바일 폰, TV에 양산 적용 중입니다.
TFE(박막 캡슐화)
TFE 소재는 OLED 소재를 외부의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소재로 Flexible OLED 패널에서는 유기(TFE)과 무기(SiNx)의 복합층으로 구성됩니다. TFE 소재는 국/내외 패널사 대부분에 공급 중입니다.
QD(퀀텀닷) 잉크
QD Ink는 QD-Display의 Backlight로 사용되는 청색광을 적색/녹색으로 변환하는 소재로, QD 입자를 사용하여 자연색에 가까운 Color 구현합니다. QD Ink 소재는 QD 입자 특성을 최적화하여 색 변환 효율이 높습니다.
분리막
분리막은 필름 표면에 미세한 Pore(기공)를 갖는 얇은 막으로 2차 전지 내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여 두 전극의 단락(Short)을 방지합니다.
또한,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로서 Pore 구조 제어를 통해 전지의 고출력 특성을 구현합니다. 분리막은 원단에 다양한 코팅 구조를 도입하여 목적에 맞게 생산하고 있습니다. (CCS, MFS, MCS)
삼성 SDI 전망
리튬이온 2차전지 산업은 고안전성, 고용량, 고출력 기술 확보를 통해 응용 분야를지속적으로 넓혀 가고 있습니다.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각국 정부의 연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강화, 자동차 회사들의 다양한 전기차 모델 출시, 전기차의 주행거리 및 경제성 개선으로 중장기적으로지속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전력저장장치인 ESS용 대형전지도 국내 및 해외 국가들의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정책 영향으로 높은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소형전지는 스마트폰, Note PC, 전동공구 등의 휴대 제품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전지에도 사용되고 있고, 최근 E-Bike, E-Scooter 등 Micro-Mobility용 등 다양하게 적용 영역을 넓혀 가고 있습니다.
모바일은 소비 위축과 제품 교체 주기 증가에 따라 정체가 예상되지만, 스마트폰 고급화에 따른 중국업체들의 OLED 패널 탑재 증가 및 폴더블 제품 출시 본격화, OLED 패널 탑재 태블릿 출시 등의 트렌드에 따라 OLED 시장의 성장이 기대되고 당사 관련 소재의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 반도체 시장은 AI 탑재 기기의 출시 및 메모리 판가 회복으로 전년比 성장 및 주요 고객들의 증산이 예상됨에 따라 당사 반도체 소재 수요 또한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HBM, AI(인공지능) 등 고성능 반도체의 출시 및 확대로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삼성 SDI 스타일 분석 지표


삼성 SDI 분석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완성차업체에 공급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의 연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강화, 자동차 회사들의 다양한 전기차 모델 출시, 전기차의 주행거리 및 경제성 개선 등으로 중장기적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전력저장장치(ESS)용 대형전지는 글로벌 주요 국가들의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정책, 또한 최근 AI 관련 전력량 증가와 데이터센터 증가 영향으로 높은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소형전지는 원형, 파우치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Note PC,전동공구 등의 휴대 제품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전지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시장의 요구 증가로 적용 영역을 점차 넓혀 가고 있습니다.
반도체 소재는 반도체 업체들의 증설과 생산량 확대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최근 AI용 반도체 등 수요 확대에 따라 관련 소재의 수요도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스플레이 소재는 LCD 패널과 OLED 패널 수요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LCD 패널 성장성은 과거 대비 둔화되는 추세이나, 그 중에서 대면적 LCD 패널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OLED는 모바일/IT제품과 TV에서의 패널 채용이 증가하면서 성장할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