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전자 기업분석 (코스피-011230) samwha-kospi-011230

삼화전자는 21세기 전자통신 산업의 급속한 Digital화와 Global 경쟁체제 속에서, 새로운 변신과 재도약을 위한 새 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류와 환경을 위한 초우량 가치창조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기존 사업구조의 재조정과 제조 경쟁력의 혁신, 해외공장의 조기 안정화를 통한 사업 Portfolio의 재정립, Chip부품 등 고수익 신상품, 신사업에 대한 투자 강화와 아울러 TPM 운동의 재정착, 환경경영체제 구축, 기업문화 선진화 등의 각종 경영혁신 활동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R&D 및 품질기술 혁신을 강력히 추진함은 물론, 고수익 창출이 가능한 새로운 Business Model의 모색과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삼화전자에 보내 주신 성원과 격려에 다시 한번 감사 드리고, 항상 고객과 주주 여러분들의 작은 소리도 크게 들으면서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는 기업, 사회와 국가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기업, 종업원을 소중히 여기는 기업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삼화전자 배경과 목표

삼화전자는 국기업과의 차별화된 소재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수익성이 높고 성장성이 높은 친환경 자동차용 부품을 GLOBAL기업에 공급하기 위하여 Low loss 및 고효율, 고주파용 신규 재질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EMI, EMC 제품, 생활가전 IH 제품, 산업용 특수 제품 및 반도체 장비 고주파 전원 제품, 5G 통신중계기 제품, 전파암실 전파흡수체 등의 시장 위주로 사업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페라이트 코어 시장의 경우 수백 개의 경쟁업체가 있어 정확한 집계가 어려운 상황이나 업계에서는 2024년 기준 글로벌 페라이트 코어 시장 규모는 약 15,000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선진업체인 일본의 TDK와 JFE, Proterial(구 Hitachi metal) 등이 있으며, 후발업체인 Ferrox-Cube, 동양광, 동양자성, TDG, ACME 등의 중국 및 대만 소재 기업들이 다수이며, 페라이트 코어 및 MPC코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중국 및 대만 기업이 저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범용 제품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제품에서도 중국, 대만 업체들이 시장에 진입을 하며 점유율 확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삼화전자는 페라이트 코어 및 MPC코어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해당 사업은 연관 산업의 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습니다. 연관산업은 크게 IT 및 Display 시장, 친환경 전기자동차 시장 (HEV/PHEV/EV/FCV), 생활가전 시장, 다양한 산업용 시장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삼화전자 사업분야

페라이트 친환경 자동차용 전장부품

세계 각국의 자동차 연비규제와 배기가스 규제에 따라 글로벌 친환경차 자동차 시장은 년 평균 30% 이상 급성장 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자동차용 LDC, OBC, 스마트키 안테나 등 전장부품 페라이트 코어 국산화에 성공하여 2017년 초부터 양산하고 있으며, 2023년 하반기 기준 현대차 및 기아로 18종의 친환경자동차에 제품을 공급 및 신규 E-GMP 전기자동차 전용 플랫폼용 핵심 부품도 승인 및 공급 중이며, 신규 주력 차종으로 적용 확대하여 공급 진행중입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E-GMP 자동차 전용 플랫폼에서 2022년 30만대의 전기자동차를 양산하였으며, 2024년까지 E-GMP 적용 전용 전기자동차 11종과 글로벌 100만대 전기자동차 판매 생산체제를 갖출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신규 eM 플랫폼이 2025년 하반기부터 가동되어 전기차 배터리 뿐만 아니라 모터 등에 대한 호환 플랫폼 적용으로 전기차 물량은 큰 폭으로 증가 예상됩니다. 시장 예상치는 2025년 130만대, 2026년 170만대까지 증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차 G차종은 202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를 판매하지 않기로 선언하였고, 친환경 자동차로만 판매 진행하는 것으로 언론을 통해 기사화 되었으며, 차량 탑재용 충전기 용량도 기존 대비 2배 증가된 22kW급으로 증가하여 빠른 충전속도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진행될 예정입니다. 급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핵심부품인 LDC, OBC 변압기 및 인덕터, 필터의 고효율 LOW LOSS 재질 등의 개발로 친환경자동차 중심의 고부가가치 제조기업으로 발돋움 하게 될 것입니다.

기존에 친환경차에 공급 중이던 재질에서 전자기 특성 및 효율을 개선한 신규 재질을 개발하여 현대, 기아차 신규차종 주력모델 수개 모델에 1ST 개발 참여 중이며, 주력모델 수개 차종에 단독 승인 및 양산 모델 확대 진행 중에 있습니다. 또한, G사 및 F사 등의 글로벌 자동차 업체 향으로도 전기차 LDC 및 OBC용 제품 개발 진행을 확대 중이며, 2023년부터 본격적인 매출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또한 전력변환 장치의 고주파화로 인한 경량화 및 고효율화를 위해 국내 전장 주요 고객사와 신규 재질 공동 개발을 진행 중이며 향후 시장 트렌드 변화에 주도적으로 시장 참여 및 개발 진행 중에 있습니다. 국내 친환경차 고객사의 2023년 신규 차종에 단독 승인 및 공급을 시작하였고, 수 개 차종으로 확대 적용될 계획입니다.

글로벌 해외 전기차 G사에도 2023년 신규차종 10여개 모델에 단독 승인하여,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양산 및 공급 진행중입니다. 전기자동차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제품 성장도 기대됩니다. 자동차가 달리는 도로에 장소를 가리지 않고 주유소가 설치된 것처럼 전기자동차 보급이 보편화 되면 전기자동차 충전기 시장도 확대 될 것입니다.

전기자동차의 충전속도가 기존 1시간 이상 소요에서 2022년 출시된 아이오닉5 등 신규차종들의 충전속도는 초고속충전 기준으로 20분 이내로 단축되었습니다. 특히 미국은 향후 5년간 75억 달러 수준의 충전 인프라 확대가 진행될 예정이며, 북미 향 350kW 이상의 초 급속 충전장치의 글로벌 1위 업체에 AC/DC 변압기용 페라이트를 독점적으로 공급 진행 중입니다. 미국 초 급속 충전기용 시장에 SK시그넷을 통해 폭스바겐 등의 글로벌 전기차 초 급속 충전장치용으로 개발 및 승인 완료하여 제품 공급을 진행 중입니다.

페라이트 생활가전용 EMI, EMC 제품

생활가전용 제품이란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공기청정기, 정수기, IH밥솥, 레인지, 정수기, 의류건조기 등이며, 최근에는 가정생활에 확산되는 미세먼지 노출 방지를 위하여 의류건조기, 공기청정기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평소 생활과 밀접한 가전제품으로 사용자는 전자파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전제품의 전자파 법적 규제 강화로 EMI, EMC 부품 수요가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전제품은 눈에 보이지 않는 불필요한 전자파가 존재하며 이는 기기작동의 오류를 일으키거나 사용자에게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이 전자파를 차단 및 제거하기 위하여 페라이트 코어가 필수적으로 장착되며, 그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생활가전 필터시장은 통합형 및 하네스 몰딩형으로 변경되고 있으며, 저주파 및 고주파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필터가 개발되어 확대 적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 전부터 국내 시장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시장은 IH(유도가열방식) 레인지 및 밥솥 시장입니다. 유럽(독일, 영국, 프랑스, 그리스 등)은100% IH레인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 및 일본은 95% 이상, 한국은15% 미만으로 사용 중 입니다. 최근 주방의 친환경요구로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 전자레인지 보급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IH압력밥솥은 전자제어기술과 전기제어기술이 복합적으로 들어가 있는 스마트한 전자제품으로 위생, 청결 등 고객의 요구가 반영된 프리미엄 밥솥으로 제품의 기능이 세분화되고 다양해지고 있어 해당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밥솥의 형상에 최적화된 ARC TYPE 제품을 개발하여 국내 주요 고객사의 주력 제품으로 양산 공급하고 있으며 적용모델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가족 구성원의 변화로 1, 2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6인용 이하의 소형 IH밥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차폐용 페라이트 코어를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고객은 삼성전자, LG전자, 대우위니아, 쿠쿠전자, 쿠첸이며, 해외 주요고객은 일본 도시바, 스위스 Alpha 입니다. 현재 신규개발 광대역 주파수 필터 및 하이브리드 필터 개발을 완료하여 양산 체계를 갖추었습니다.

페라이트 전파암실용 전파흡수체

전파암실은 모든 전자제품 및 전기자동차, 항공기의 전자파 적합성(EMC) 테스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설비로 국제 무선장애 특별위원회(CISPR) 국제규격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페라이트코어 흡수체는 전파암실공사에서 저주파 대역을 흡수하는 유일한 상용 제품입니다. 페라이트코어 흡수체는 저주파 대역에서 전파 흡수능력이 우수하여, 전파암실 NSA 평가에서 세계 일류 제품으로 평가 받았으며, 이는 AI(인공지능), ROBOT, 드론, 자율주행차 등에서 강화되고 있는 저주파 EMC 규격을 측정하기 위한 전파암실에서도 최적의 재료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자동차에 적용되는 CISPR 36, CISPR 25 국제규격과, 자율주행차에서 요구되는 1GHz대역의 흡수특성을 실현하기 위한 원천소재를 확보하여 맞춤형 솔루션 제공이 가능해 짐에 따라 CISPR 규격 강화가 시작되면서 더욱 더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생활의 편리함을 주는 스마트폰, 고성능 가전제품 및 무선통신, 첨단 의료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자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접 전자제품 작동을 방해하여 오류 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자제품 간의 전자파 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제규격인 전자파 적합성(EMC)을 법제화하여 규제하고 있으며, 따라서 모든 전자 제품들은 EMC 규격을 만족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EMC 분석 결과를 제품 설계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기존 유럽, 미주시장 외에 전자파 법적 규제 강화로 중국시장과 성장하고 있는 인도, 동남아시아 전파암실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전파암실에서 페라이트 흡수체가 주로 사용되는NSA 규격이 기존 ±4dB에서 ±3.5dB로 강화 되는 추세로 더욱 페라이트 타일에 대한 요구사항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EMC 관련 제품은 세계 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하여 입지를 더욱 강화 할 것입니다.

페라이트 산업용 제품

산업용 제품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장비 산업, 태양광 산업, 선박, 의료기, 5G 시장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글로벌 경제 둔화로 인한 반도체 설비 투자 및 업황이 저조한 상황이었으나 최근 바닥을 찍고 서서히 업황이 회복되는 추세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등 대형 IT 업체들이 설비 투자 지연에 따라 반도체 및 LCD 장비에 적용되는 페라이트 코어의 수요가 감소하였으나, 최근 반도체 시장 수요가 회복되고 있고, 삼성전자 평택사업장 반도체 공장 신규라인 3기,4기 신규라인 진행중이고, 앞으로 수년간 5기, 6기 신규라인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또한 최근 삼성전자에서 용인 남사에 300조 규모 반도체 라인 투자가 결정되어 향후 반도체 장비의 수요가 큰폭으로 증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로 인해 장비용 신규 시장은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SK 하이닉스에서도 대규모 신규공장을 착공예정으로 시장 수요는 당분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회복에 맞춰 주요 고객사와 반도체 공정에 적용중인 고주파용 페라이트 코아 개발 및 공급 확대 진행 예정입니다.

삼화전자 전망

세계 각국의 에너지 효율 증대 및 친환경 정책 시행으로 Magnetic Powder Core (자성 분말 코어)의 고효율 전원의 채용 증가, 각종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스마트폰에 따라 이들에게 적용되는 부품재료의 고성능화 요구에 따라 국, 내외 시장 수요는 지속 확대가 예상됩니다.

4차 산업 관련 5G, loT 등 응용 시장 신규로 지속 창출, 확대되고 있어 금속자성분말 및 이를 이용한 코어제품, 응용상품 전자기기의 적용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급격히 수요가 증가되는 용도는 Automotive로 High Flux 재질의 형상코어가 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금속분말 및 응용제품시장에 참여 확대를 위해서는 원료에 대한 원천기술의 확보가 핵심사항으로 이를 위해 선진 기술의 도입 및 역량을 집중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략 고객, 제품의 차별화를 통해 매출 확대 및 수익성 향상이 기대됩니다. 최근 몇 년간 전세계적인 COVID-19의 여파로 데이터센터 서버 PFC용 High Flux의 판매가 급성장 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차 시장의 고부가가치 PFC 필터용 TOROID TYPE 제품 및 PFC 리액터용 PQ 형상 CORE 개발 승인을 추진 중이며, 국내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본격적인 매출 확대 진행 및 해외 글로벌 전기자동차 고객으로 승인 판매 확대할 계획입니다.

삼화전자 스타일 분석 지표

삼화전자 분석

자율주행차 시장도 급격히 성장 중입니다. 자율주행차 시장규모는 2020년 71억달러에서 2035년 1조달러로 약 15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년 평균 40% 성장 수준입니다. 본격적으로 확대되는 시점은 2028년이며, 현대차 그룹은 2025년까지 모든 차종을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로 전환한다고 밝혔고, 여기에는 레벨 3이상의 자율주행 기술 적용이 해당됩니다. 현대차, 는 자율주행차 레벨3 이상 차량에 LiDAR를 탑재됩니다. 자율주행 차의 눈이라고 할 수 있는 LiDAR에 적용되는 고주파 필터시장에 개발 참여 예정이며, 국내외주요 전기차 업체와 개발 협의 진행 중입니다. 또한 2026년부터 본격적인 매출을 목표로 개발 진행 예정으로, 상기와 같은 활동을 통해 친환경차용 페라이트 매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급형 전기렌지에 적용 되는 차폐형 페라이트를 FULL COVER 방식으로 적용하는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전기렌지의 고성능화 및 FERRITE 시장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페라이트 타일과 같이 사용되는 피라미드 압소버가 유기화합물인 폴리머 환경물질인 관계로 전파암실의 시공사들은 환경 규제를 피하기 위해서 친환경 biomass압소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에 대비하여 고객에 요구에 맞춘 매칭 테스트 및 페라이트 타일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세계 대외적인 환경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 원자재를 대체할 전파흡수체 신재질 개발을 완료 및 고객사에 제출 승인이 되어 세계 최초의 Mg-Zn 흡수체를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변화하는 시장에서 고객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원활하게 공급하는데 기여할 것입니다.

누전 및 화재 예방을 위한 전류센서, 반도체 웨이퍼를 처리하기 위한 고주파 전원 발생 장치 및 RF프라즈마 노이즈 제거를 위한 차폐재, 선박용 아크용접기 및 선박평형수용 미생물 처리를 위한 트랜스, 의료기, 5G용 정류기에도 다양하게 적용되며 고성능을 갖춘 제품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특수 산업용 고부가가치 판매 고객 확보를 위해 개발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산업용 제품은 IT 및 반도체 산업, 친환경에너지 산업, 선박평형수 처리 산업, 5G산업의 성장에 따라 매출 성장도 예상됩니다. 그 동안 반도체 및 LCD 장비에 적용되었던 고주파 전원장치용 페라이트 코어의 경우 전량 미국기업 통해 수입하여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고주파 전원장치용 페라이트 코어의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현재 90%이상의 국내 장비업체들이 제품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반도체 세정공정에 적용되는 고주파용 초대형 TRANS에 적용되는 제품을 개발하여 기존 해외 FERRITE MAKER에서 공급 중이던 제품을 국산화에 성공하여 공급을 시작할 예정이며, 적용 모델 추가 확대 승인 및 신규고객 추가 승인으로 매출은 확대 될 것 입니다.

또한 초급속 충전장치 글로벌 1위 업체에 고효율 저손실 재질 적용 제품 독점 공급중이며 충전기 인프라 확대에 따른 매출 급증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