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하이닉스는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본사를 거점으로 4개의 생산기지와 3개의 연구개발법인 및 미국, 중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 등 판매법인과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입니다. 주력 제품은 DRAM 및 NAND를 중심으로 하는 메모리 반도체이며, 일부 Fab(S1, M10 일부)을 활용하여 시스템 반도체인 CIS(CMOS Image Sensor)생산과 파운드리(Foundry)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SK 하이닉스 배경과 목표
IT 산업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매출 기여도가 높고 당사 판매 전략에 부합하는 각 응용 분야별 전략 고객 관리를 통하여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함은 물론, 제품 구성을 다양화하여 수익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테크 리더십(Global Tech Leadership)을 통해 고객, 협력사, 투자자, 지역사회, 구성원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더불어 글로벌 파트너와 기존 틀을 깨는 초협력으로 글로벌 ICT 생태계를 선도하는 Solution Provider가 되겠습니다.
경제적 이익만 추구하는 경영방식에서 벗어나 사회적 가치와 건강한 기업 지배구조를 고민하는 ESG 경영을 강화하여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고자 합니다.
SK하이닉스는 인류와 사회에 기여하는 ‘글로벌 일류 기술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습니다.
SK 하이닉스 사업분야
DRAM
PC 메모리(PC Memory)는 기업/교육용 PC Refresh 및 2025년 예정된 Windows 10 OS 기술 지원 종료에 따른 교체 수요로 Commercial PC 중심의 수요 회복이 전망됩니다. 또한, 평균 메모리 탑재량이 높은 울트라북(Ultrabook)과 고사양 게이밍 PC(Gaming PC)가 확고한 제품 지위를 갖고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Intel/AMD CPU 위주의 PC 시장에 성능이 대폭 개선된 ARM CPU를 채용한 PC 시장이 확대되고 있어 지속적인 PC 메모리 수요 증대가 예상됩니다.
AI 시장 확대에 따라 On-demand PC 역할을 위한 신경망처리장치(NPU)를 탑재한 CPU 출시가 확대되며, 향후에는 AI PC로의 세대 교체와 고용량/고속 메모리 수요 확대가 예상됩니다.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해 모바일 및 고용량 제품 확대를 통해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서버 메모리 (Server Memory)
AI로 인한 Cloud computing 수요 확대가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LLM으로 인한 고성능 AI 서버뿐 아니라, 데이터 관리를 위한 General Purpose Server의 수요 증가로 향후 높은 성장이 전망됩니다.
AI Training 서버의 수요는 Model Size 증가와 Multi Modal 지원으로 인해 향후에도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며, AI Inference 서버의 경우 생성형 AI의 본격적인 상업화에 따라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로 인해 신규 데이터센터의 건설 지속 증가 및 Server향 메모리 수요 확대가 예상됩니다. General Server 시장은 최근 급증한 AI 서버 예산 집행으로 지연되었던 교체 수요가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Cloud 업체들은 AI 서비스 이용으로 인한 높은 전력 소모에 대응하기 위해 신규 CPU를 적극적으로 채용함으로써 TCO를 절감하고자 노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terprise/On-premise 시장 역시 기업의 Private AI, 국가별 Sovereign AI 로 인한 수요로 인해 향후 고성장이 전망됩니다.
평균 용량 측면에서는 AI Workload의 높은 Computing Power와 함께 TCO에 유리한 고용량/고성능 Memory 채용으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제한된 CPU Spec 내 Memory Capacity 및 대역폭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고용량, 고성능 메모리 채용 증가가 예상되어 서버당 메모리 용량은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업계 최고 수준의 Tech 경쟁력과 고용량/고성능 Memory Solution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 협업 및 선단 공정의 적기 양산을 통해 수요 확대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한편, Memory Capacity 요구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시장/업계에서는 기기에 구애받지 않고 메모리를 추가 확장할 수 있는 CXL 메모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5년 CXL 2.0기반 CXL Memory 시장 개화 이후 2027년 이후 CXL 3.0 기반의 고성장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으며, CXL 시장 선도를 위해 SoC Partner들과 함께 가격, 성능 측면 최적의 Solution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래픽스 메모리 (Graphics Memory)
시장은 고사양/고화질 게임 증가, 4K/8K 미디어 영상 컨텐츠 확산, 3D 그래픽 기술 발전에 따라 상위 스피드를 지원하는 GDDR6를 메인으로 채용 중입니다. 2023년 글로벌 시장 침체로 GPU/GDDR의 판매가 저조하였으나,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생성형 AI 산업향으로도 GDDR6를 채용한 GPU가 출시되고 AI PC에 대한 관심도 상승으로 PC GPU 채용률 향상되며 수요 회복이 전망됩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는 Speed와 Power Efficiency가 향상된 GDDR7의 출시로 그래픽스 메모리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를 강화한 신규 GPU, 그래픽 카드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신규 콘솔용 게임 출시로 게임 콘솔 시장 또한 견조한 수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3년 경기 침체로 콘솔 Set 판매는 소폭 축소되었으나, 메모리 용량 및 성능이 향상된 후속 모델 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그래픽스 메모리 수요 증가 예상됩니다.
주요 GPU/PC OEM 업체 및 게임 콘솔 업체들과의 전략적 협업과 관계 강화를 통해 PC 그래픽스와 게임 콘솔 시장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HBM 메모리 (High Bandwidth Memory)
AI/Deep Learning 분야의 Workload 증가로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과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시스템 가속화를 위해 탑재되며, 이와 같은 고사양 Accelerator 수요는 지속 증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대표적으로 Generative AI 시장에서 Chat GPT와 같이 연구 단계를 넘어서 산업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신기술들이 등장하며 다양한 응용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Infrastructure 기업 중 Big-3 Cloud(AWS, MS Azure, Google Cloud), NVIDIA GPU의 시장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며 장기적으로는 차별화된 Generative AI 서비스를 위해 독자적인 추론용 가속기 적용과 시스템 최적화로 데이터센터와 HPC향으로 고성능의 가속기(GPU/FPGA/ASIC)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입니다.
이에 고성능/고용량 메모리 솔루션인 HBM에 대한 Needs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Memory Bandwidth와 Density/Core Die 적층 단수의 상향 등 1등 특성/품질 구현 및 Time to Market을 실현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HBM 시장을 지속 선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컨슈머 메모리 (Consumer Memory)
AI&Connectivity 활용 기반의 Home Appliance 발전/확대 기조를 중심으로 Digital TV/Set-top Box/AI Speaker/AR/VR/Game 등 많은 응용에서의 Tech Level Up 전개 진행이 전망됩니다. 또한, 글로벌 경기 침체로 위축하였던 소비 심리가 회복되면서 Consumer 시장의 점진적 수요 회복이 전망됩니다. 업계는 현재의 시황에 대응하기 위해 고수익 중심의 프리미엄(고화질/대화면) Segment 확대, Connectivity를 기반으로 한 AI 기능 추가와 기기 편의성 제고를 통하여 고객의 구매를 꾀하고 있습니다.
Digital TV의 Computing Performance 상향 지원과 In-Home Activity(ex. 게임), NFT 거래 플랫폼 등의 탑재로 확장성을 도모 중이며 화면 회전, 공간 효율성 제고를 통하여 차별화된 가치 제공으로 편의성 및 OTT/AI Speaker 등은 Home Connectivity를 기반으로 Media 시장의 발전/확대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Big Tech 기업들이 Metaverse 활용을 위한 필수 접속 기기인 AR/VR의 성능 고도화를 추진하면서 채용 메모리 용량 확대가 요구되며, 이는 중장기 메모리 수요를 견인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AR/VR, AI Speaker, Home Security 등 성장 분야로 Big Tech 기업들의 참여와 대중화는 Consumer 시장 Pie 확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차량 내 계기판의 Integrated Digital Cluster화 및 Infotainment System의 고사양화에 따라 고성능 SoC 적용과 함께 메모리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ADAS 적용 가속화와 자율주행 기술/환경 발전은 중장기 고용량/고품질 메모리 시장을 확대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범용 제품(DDR3/4)과 저전압/고속 제품(LPDDR4/5)은 물론, Specialty 제품(Industrial Temp, Automotive Grade&HBM) 등 다양한 Portfolio와 Longevity 정책 제시 등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며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모바일 메모리(Mobile Memory)
Low-power 및 High Bandwidth를 필요로 하는 Mobile Device인 스마트폰 등을 중심으로 채용되고 있습니다.
2023년 스마트폰 Set는 전년에 이어 지속 역성장 하였으나, 잠재적 교체수요 기반 2024년은 다소 성장이 기대되며, Segment 양극화로 Flagship과 Low-end 비중 증가 및 Midrange 감소의 형태로 전개가 예상됩니다.
Set 성장은 제한적이지만 온디바이스 AI 스마트폰 출시에 따른 메모리 탑재량 증대로용 량 상향을 동반한 메모리 전체 시장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최근 Flagship향 16GB 이상 LPDDR5X/T를 필두로 고용량 제품 채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Flagship 모델 차별화 및 온디바이스 AI 구현을 위한 초고용량/초고속 메모리 채용 수요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장기적으로 AI 관련 기능이 더 고도화/지능화 요구되며 초연결 AI 사회 핵심 Hub 역할을 하는 기기로 점점 더 고성능 Computing Power가 요구될 것입니다.
최신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모바일 제품 Line-up을 구축하여 고용량/고성능/저전력 구현을 위한 미래 제품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낸드플래시 (NAND Flash)
데이터 저장 용도로 쓰이는 대표적인 메모리 반도체로서, 기술 산업의 빠른 진화와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특히 최첨단 IT 기기 및 다양한 생활가전에서의 제품 채용률 및 채용량 증가가 지속되는 추세입니다.
특히 폴더블폰 등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차별화 정책과 Cloud Computing 강세에 따른 고용량 낸드플래시 채용 증가 등이 성장을 이끌고 있으며 전기차/자율주행 차량의 확산, 생성형 AI의 개화 및 온디바이스 AI의 잠재력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용량의 응용 복합 제품을 기반으로 고객의 수요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응용 분야별 선택과 집중을 통해 낸드플래시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에서의 위상을 굳건히 하고 있습니다.
최근 AI 서버 확대로 부상하고 있는 고용량 QLC 엔터프라이즈 SSD 시장 적기 대응을 위해 Solidigm과의 통합 시너지를 강화하고, 고성능 프리미엄 시장용 16채널 라인업을 확보하는 등 기술 경쟁력 우위를 지속 유지해 나가겠습니다.
CIS (CMOS Image Sensor)
모바일폰, 노트북,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등 디지털 기기에서 카메라 필름 역할을 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자동차, 보안, VR/AR, 의료 기기 등으로 응용 범위가 지속 확장되고 있습니다. 주요 응용 분야인 스마트폰의 경우 카메라 기능이 초광각, 망원, 포커싱(보케) 등으로 확대되고, 카메라 성능에 대한 고화소 및 고화질 요구가 증가하여 경쟁력 있는 CIS 채용을 통한 카메라 차별화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마케팅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2017년 1.0um Pixel CIS 제품 개발을 시작으로 0.8um, 0.7um, 0.64um, 0.56um Pixel 제품을 연이어 출시하며 고화소 및 고화질 카메라 고객 수요 대응을 위한 제품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SK 하이닉스 전망
반도체 산업은 기술 혁신을 통해 시장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첨단기술의 신산업에서도 중요한 부품으로 사용되어 사용처가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AI, IoT, 자율주행 자동차, 바이오 등 신기술 발달에 힘입어 반도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0년은 COVID-19 사태에 따른 글로벌 팬데믹과 미-중 무역 갈등의 격화로 인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세계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전환되며 메모리 시장 환경도 당초 기대 대비 부진했으나, 연말로 갈수록 업계 재고가 정상화되고 수급도 안정을 찾아가기 시작하면서 반도체 시장은 +10.4%, 메모리 시장은 +13.5%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2021년 반도체 시장은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확산세가 여전히 꺾이지 않은 팬데믹 상황 등 불확실한 시장 환경이 지속되었습니다. 이에 따른 2020년의 연장선상에서 Server, PC, 모바일 수요가 크게 증가하여 반도체 시장은 +25.0%, 메모리 시장은 +33.2%의 성장을 보였습니다. 2022년은 지정학적 위기와 글로벌 공급망 이슈, 글로벌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하반기부터 시황이 악화됨에 따라 반도체 시장은 +1.1% 성장에 그쳤고, 메모리 시장은 -13.7%로 규모가 감소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3년은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세계 경제 성장 둔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어 반도체 수출은 유례없는 불황을 겪었습니다. 2023년 반도체 시장은 업계 메모리 재고가 증가한 상태에서 PC, 모바일 등 IT 제품의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으로 인해 반도체 시장은 -11.7%, 메모리 시장은 -35.8%로 역성장 흐름을 보였습니다. 2024년은 세계 경제의 양호한 회복세를 바탕으로 침체되었던 개인소비 회복에 따른 전자제품 판매 증가와 생성형 AI, 온디바이스 AI 등 AI 시장이 본격 개화하여 고용량/고성능 메모리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SK 하이닉스 스타일 분석 지표


SK 하이닉스 분석
세계 반도체 시장은 제품 수명 주기가 짧으며, 새로운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장치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은 단기간에 공급량 조절이 어려워 수급 불균형에 의한 가격과 공급 안정성의 변동으로 호황과 불황을 반복해 왔으며, 이는 주요 수요처인 미구주의 거시경제 순환 사이클(Business Cycle)과의 연관성이 매우 컸습니다. 최근에는 AI 활용 분야가 다양해지면서 새로운 기술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지정학적 리스크 및 매크로 거시 경제 악화 등 시황 변화에 따른 수요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공정 미세화의 난이도 증가와 투자 대비 수익에 대한 불확실성 증대 등 사업환경이 변화하였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생산기술의 고도화를 통한 투자 절감과 제품의 부가가치 증대를 위해 다양한 선행기술 및 응용기술 개발, 메모리 컨트롤러와 펌웨어가 결합된 응용복합제품의 개발이 중요한 사업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아울러 DRAM 분야에서의 TSV(Through Silicon Via) 기술 경쟁력 확보와 New Memory의 원활한 초기 시장 진입 및 eMMC나 SSD 제품의 시장 확대를 위한 관련 기술 업체와의 협업과 더불어 고객 만족도가 중요해짐에 따라 마케팅 및 고객 지원 활동도 핵심 경쟁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IT 산업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매출 기여도가 높고 판매 전략에 부합하는 각 응용 분야별 전략 고객 관리를 통하여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함은 물론, 제품 구성을 다양화하여 수익성또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것으로 예상됩니다.